[게티이미지뱅크] |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 “제주도에 토착화될 수 있다.”
동남아 여행에서 꼭 주의해야 할 감염병이 하나 있다. 바로 뎅기열이다.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뎅기열이 난리다. 브라질에선 이미 올해에만 200명 넘는 사망자가 속출했다.
국내는 안심할 수 있을까? 안타깝지만, 지구온난화는 전 세계적 현상이고 당연히 한반도만 비켜갈 수 없다. 특히, 가장 남쪽에 있는 제주도에서 뎅기열에 토착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모기에 물려 감염되는 만큼 막기도 어렵고, 현재 마땅한 백신이나 치료제도 없다. 치사율도 높은 질병이다. 뎅기열 뿐 아니다. 이대로 온난화가 가속화되면 각종 열대성 질병이 한반도에 상륙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되는 병이다. 뎅기 바이러스를 지닌 모기가 사람을 물면서 전파된다. 순식간에 고열이 발생하고, 두통과 근육통 등을 동반한다. 온몸에 발진이 생기기도 하며, 출혈을 동반할 수 있다. 조기에 대응하지 않으면 치사율이 40%에 달하는 무서운 질병이다.
아직 마땅한 백신이나 치료제도 없고, 사실상 예방법은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뿐이다.
[게티이미지뱅크] |
질병관리청의 ‘기후변화 대비 매개체 감시현황’에 따르면, 2010년부터 아열대 기후인 제주도는 매개체 감염병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뎅기열의 매개체인 이집트숲모기는 월동을 못한다. 그래서 겨울이 있는 한 생존할 수 없다.
하지만 1월에도 평균기온이 10도를 넘기게 되면 이집트숲모기가 생존할 환경이 된다. 기온 상승의 여파로 이제 제주도가 그 범주에 임박했다는 분석이다.
아직까진 뎅기열의 국내 발생, 토착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작년의 경우 205명의 뎅기열 환자가 발생했지만 모두 해외 유입 환자들이다.
문제는 만약 국내에 뎅기열 매개체가 될 모기가 들어올 경우 환경적으론 이미 토착화가 가능하다는 데에 있다. 또, 해외에서 유입된 뎅기열 환자가 국내 흰줄숲모기를 통해 해외 여행을 하지 않는 국내 환자를 만들 가능성도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
뎅기열은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논란이다. 현재 브라질이나 페루 등 남미 지역에선 뎅기열 확산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으며, 최근엔 남미 인접 국가를 비롯, 푸에르리코 등 중미 국가에서도 뎅기열 감염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동남아도 비상이다. 태국의 경우 올해 1월 뎅기열 환자가 전년 동기 대비 90% 이상 급증했다. 말레이시아 역시 전년 동기 대비 60% 이상 환자가 늘었다.
[게티이미지뱅크] |
뎅기열이 끝이 아니다. 한국기후변화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온이 1도 상승하게 되면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말라리아 등의 감염병 평균 발생이 4.2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기를 매개체로 하는 각종 질병이 위험하다. 보고서는 “일 평균기온이 1도 상승하면 일주일 후 모기 성체 개체수가 27%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모기를 통해 국내에서 환자 발생이 증가할 수 있는 감염병은 알라리아, 일본뇌염, 뎅기열, 황열 등이 있다”고 덧붙였다.
dlc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