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분야 경쟁력 관건
한국 에너지 공과 대학 조감도 |
[헬럴드경제(나주)=황성철기자]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한전공대)이 내년 3월 전남 나주에 개교를 앞두고 조만간 신입생 모집에 들어간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으로 설립이 추진된 한전공대는 2050년까지 에너지 분야 세계 10위권 공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전 공대는 최근에 신입생 모집 요강을 발표하고 다음 달 수시 모집을 준비하는 등 개교를 서두르고 있다. 다만 1조6000억원이라는 막대한 재원이 투입되는 한전 공대가 기존의 에너지 관련 학부와 차별화될 수 있을지는 시선이 엇갈리고 있다.
12일 한전공대의 2022학년도 학부 신입생 모집요강에 따르면 단일학과인 ‘에너지공학부’는 오는 9월 10일부터 수시모집을 시작한다. 에너지공학부는 수시모집으로 100명, 정시모집으로 10명의 신입생을 선발할 예정이다. 수시모집인 학생부종합전형도 일반전형 90명과 고른기회전형(10명)으로 나뉜다.
한전공대는 학사 100명 외에도 석·박사 250명을 포함한 350명 규모의 2022년 3월 개교를 목표한다. 2025년까지 학부 400명, 대학원 600명 등 1000명을 선발하고 정원 외로 외국인 학생 300여명도 유치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임용이 확정된 교수는 28명이며 연말까지 33명, 개교 전까지 총 50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목표한 교수진 100명 확보는 대학 4학년 편제가 완성되는 2025년까지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한전공대는 지난 2017년 당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의 공약으로 현 정부의 국정과제로 추진됐다. 올해 3월24일 국회 본회의에서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법'이 통과하면서 설립에 급물살을 탔다. 보통 대학이 기본계획 수립부터 설계·시공·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까지 도달하는 시간과 비교하면 ‘속도전’인 셈이다.
캠퍼스 착공은 지난 2017년 7월 문재인 정부가 대학 설립을 담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발표 4년여 만인 지난 6월 1일 시작했다. 대학 설립 입지는 한전 본사 소재 나주 혁신 도시의 부영 골프장 부지다. 캠퍼스 건축 공사는 오는 2025년까지 1·2·3단계로 나눠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한전 공대는 내년 3월에 맞춰 핵심 시설만 건립해 임시 사용 승인을 받아 개교할 예정이다. 대학원 연구실은 전남 나주혁신산업단지에 올해 10월 완공 예정인 한전 에너지 신기술 연구소 일부를 임대할 예정이다. 기숙사는 2024년께 준공 계획이어서 나주 혁신 도시 내에 임시 기숙사를 임차할 방침이다.
이 학교의 석학급 교수 연봉은 4억원 이상이며, 1000명의 학생에게는 등록금 면제와 기숙사 무료 혜택이 제공 된다. 이에 따라 오는 2031년까지 설립·운영에 총 1조6000억여원이 들어갈 보인다. 이중 전남도와 나주시가 각각 연간 100억원씩 10년 간 총 2000억원을 투입하고, 캠퍼스 부지를 제공해 총 3670억원을 지원한다. 나머지 비용은 한전과 전력 그룹사가 일정 부분을 부담한다.
이에 지난해 누적 부채가 132조원에 이르는 한전의 경영 부담이 커질 수 있다. 한전의 '2020~2024년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에 따르면 연결기준 한전 부채는 지난해 132조4753억원에서 2024년 159조4621억원으로 20%가량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수시모집의 경우 학생부종합전형은 ‘일반전형’(90명)과 ‘고른기회전형’(10명)으로 나뉜다. 수시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내신을 반영하지 않고, 서류 평가와 자체 평가 기준에 따른 면접 평가로 학생을 선발한다.
면접평가는 학생부 기반 면접(30%)과 창의성 면접(70%)으로 구성된다. 창의성 면접 평가에 대해 한전 공대는 ‘과학적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 수학적인 사고력, 인문적 통찰력, 협업적 소통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이미 국내에는 4개 과학기술원(KAIST·대구경북·울산·광주)과 사립인 포스텍 등 5개 과기특성화대가 있다. 이들 모두 에너지 관련 전공이 개설돼 있어 차별화가 관건이다.
한전공대는 전공 선택 없이 자유로운 수강과 진로 특화 과정을 차별점으로 내세운다. 1·2학년에 기초 역량 과정을 거쳐 3·4학년에 에너지 역량 과정과 진로 특화 과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에너지역량과정은 ▲에너지 AI ▲에너지 신소재 ▲차세대 그리드 ▲수소에너지 ▲환경·기후기술로 구성된다.
모두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 전환과 관련이 큰 분야들이다. 다만 정부의 탈 원전 기조에 마쳐서 무탄소 전원인 원자력은 연구 분야에서 배제했다. 이런 교육 과정과 관련해 정동욱 중앙대 교수는 “이미 원자력 관련 연구 경쟁력이 높은 학교들이 많아 원자력이 없는 것을 아쉽다고만 볼 수는 없겠지만, 그런 점을 상쇄할 만큼 특정 연구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