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고문]시 승격 60주년, 도전과 변화로 그리는 새로운 안동
안동·예천 운명공동체, 통합으로 경북 성장 견인
이미지중앙

권기창 경북안동시장


공자는 60세를 이순(耳順)이라고 하며 세상 이야기를 들으면 그 뜻을 알게 된다고 하였다. 그것은 세상이 지니는 가치의 존귀함을 알고, 지향할 바를 바르게 판단하고, 행할 나이에 이르렀다는 것과 같다.

안동시는 196311일 안동읍에서 안동시로 승격하여 올해로 60주년 맞았다.

세상 이치를 알고 한 갑자 돌아 토끼해를 맞으며 새로운 출발선에 섰다. 이즈음 지나온 시간에 대한 반성과 현재에 대한 냉철한 판단과 결단이 필요하다.

안동시는 60년의 시간이 지나며 많은 변화가 있었다. 예산을 살펴보면 19624,672만 원 남짓이었으나, 2023 18,900억 원으로 2조 원 시대가 눈앞이다. 물가 상승을 생각하더라도 500~600배 껑충 뛴 셈이다.

그러나 25만 명에 육박하던 인구는 고령화와 청년인구 유출 등으로 2023현재, 15만 명 선마저 무너질 위기에 처해 지역소멸이 걱정되는 실정이다. 러한 급격한 인구감소의 원초적 이유는 안동댐과 임하댐의 건설과 무관치 않다.

1960년대 박정희 대통령은 공업 입국을 국가 경제의 근간으로 삼았다. 제조업이 하고 공업도시가 생겨나면서 공업용수의 수요량이 급격히 증가했다.

이에 56개월의 건설 기간을 거쳐 1976년 안동댐이 준공됐다. 당시 연간 9의 물을 포항, 울산, 마산, 진해 등에 공급하였으나, 용수 부족이 예상되자 또다시 9년의 공사를 거쳐 1993년 임하댐을 준공했다.

안동은 댐 건설로 방대한 토지(안동댐 56.8k, 임하댐 28.7k)가 수몰되고 3만여 명의 이주민이 고향을 잃는 아픔을 겪었다.

또한, 안동시 면적의 15.2%가 넘는 231.192k가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주민의 생활권과 재산권이 침해되었다.

안동은 하류 지역민에게 깨끗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야 한다는 미명 아래 국가산업단지 하나 없고, 관광시설 또한 제한적이어서 점점 도시 경쟁력을 잃게 됐다.

댐 주변 지역은 안개 등으로 농작물 피해는 물론이, 을 지척에 두고도 농업용수 부족에 시달렸다. 주민은 호흡기 질환 등 건강 상을 호소하는가 하면, 수돗물 요금은 하류지역보다 비싸게 지불하고 있.

렇듯 두 개의 댐은 물의 도시 안동’, 호반의 도시 안동이라는 브랜드 이미지는 간 곳 없고 애물단지로 인식된다.

그러나 위기 속에서도 기회 요소는 있다. 안동댐·임하댐이 건설되고, 옥동과 강남동 택지개발로 도시공간이 확장되, 강변은 수변공원 조성과 함께 왕복 6차선 도로가 시원하게 뚫렸다.

한 경북도청이 안동으로 이전하고 KTX와 고속도로 준공으로 이동권의 제약이 없어졌다. 바이오 산단지 등이 조성되며 대기업도 둥지를 틀었다.

애물단지로 인식되안동댐·임하댐을 우리 지역 고유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보물단지로 바꾸어 성장동력으로 삼아야 할 때이다.

낙동강 상류에 사는 우리는 물을 공공재로 인식해야 한다. 낙동강 광역상수원 공급망을 구축하여 하류 지역민에게 깨끗하고 안정적인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도덕적 의무를 다해야 할 것이며, 하류 지역민은 그에 상응하는 대가 지불로 진정한 낙동강 상하류의 상생협력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를 통해 수십 년간의 낙동강 물 분쟁은 종식되며, 광역상수도사업이 국책사업으로 단계별로 추진되도록 정부, 경상북도, 낙동강 하류 지역의 공감에 기반을 둔 긴밀한 공조가 절실하다.

2016년 경북도청 이전으로 고려시대 안동대도호부, 조선시대 안동관찰부 이후 안동이 지방행정 역사의 무대 중심으로 재부상하는 획기적인 전기가 됐다.

안동은 경북의 수도로서 사통팔달의 교통망이 구축되며 경북의 정치··사회·문화의 중심지로 거듭날 토대를 마련했다.

무엇보다, 기존 구미-포항의 한 일 자형 발전 축을 벗어나 경북을 견인할 북부권의 신 성장축의 터전이 마련됐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도청 소재지로 이전되어야 했을 유관기관이 분산 배치되고, 도청신도시는 민의 행정권과 생활권의 이원화로 불편을 호소하고 있어 별도의 행정구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경상북도 도청 이전 시부터 수면 아래서 논의되었던 안동
·예천 행정구역 통합이 작년부터 수면 위로 떠올랐다. 안동-신도시-예천은 연담도시로서 상생발전을 추구해야 할 공동운명체이다.

도청 이전의 원래 목적인 균형, 발전 새로움이 조화되는 경북의 신성장거점도시 달성은 물론이고, 인구 30만의 자족도시로 자리매김하는 미래상을 그려볼 수 있다.

지역소멸 위기가 가중되는 현시점에 신도시가 별도의 행정구역으로 분리된다면 안동·예천이 명맥을 잃고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는 것을 인식하며, 경북도청을 유치한 안동-예천 주민의 단결력이 빛을 발할 때이다.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우물쭈물하다 내 이럴 줄 알았다.”라는 말이 있다. 지속 가능한 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혼자보다 함께라는 힘이 필요하다.

또한 모든 일에는 때가 있다. 안동시는 시 승격 60주년을 맞아 현안과 난제를 과감한 도전으로 풀어나가야 한다.

새로운 안동을 위해 이순(耳順)의 의미를 가슴에 품고 도전과 변화로 미래를 그린다. 상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역사 앞에 부끄러움 없도록 세상의 뜻을 바로 세우는 2023년이 되기를 희망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